위 기능 저하의 대표적 증상은 소화불량 증상이겠죠?
더부룩하고, 트림이 잦아지고,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른다거나, 메스껍고 구역감이 있는 등의 소화 관련 증상이 있다면 위 기능 저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꼭 위장 관련 증상만 있는 것도 아닙니다.
입냄새가 심해졌다거나, 두통, 등 통증, 옆구리 통증이 있다거나, 어지럼증이 있거나, 두근거림이 있을 때에도 위장 기능이 저하된 것이 원인인 경우가 있습니다.
위장이 약해졌을 때, 검사를 해보겠죠?
위내시경이나 심전도, 간초음파 등 이런 증상이 생길 수 있는 질환을 검사하는 것부터 하게 됩니다.
그런데 검사를 해도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그래서 신경성이다, 스트레스성이라고 진단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신경성, 기능성, 과민성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면, 꼭 배를 살펴보세요.
배를 진찰했을 때, 명치와 상복부의 어느 부위가 딱딱하게 굳어있고, 눌렀을 때 불편함이 있다면, 한의학에서 이야기하는 담적병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담적 때문에 위가 방해를 받아, 기능 저하가 생기면서 이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죠.
담적 때문에 위기능저하가 생겼을 때, 위 그림에 해당하는 부위를 진찰하면 담적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 중 한 부위가 굳어진 분도 있고, 둘 다 굳어진 분도 있습니다.
심한 분들은 두 부위가 합쳐져서 더 넓은 부위가 딱딱하게 굳어져있기도 하지요.
기억에 남는 분들 중에선 판자나 돌처럼 굳어진 분도 있었습니다.
담적이 심할수록 조금만 눌러도 불편함을 호소합니다.
담적 때문에 위장 주변이 딱딱하게 굳어지면서, 위장의 소화 기능이 방해를 받습니다.
그래서 담적을 없애는 치료를 통해 위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와 함께 증상이 좋아지는 것 뿐 아니라, 배를 진찰했을 때, 굳어진 담적까지 확실하게 없어져야 안심할 수 있습니다.
담적을 어떻게 치료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음에 따로 글을 쓰도록 할게요
담적이 치료된 이후에 다시 담적이 생기지 않는지도 확인을 해야 합니다.
잘못된 식습관 때문에 담적이 생긴 것이니, 치료 후 원래의 식습관으로 돌아갔을 때, 다시 담적이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치료를 마무리하고 한 달, 두 달, 세 달 후 건강검진처럼 배를 진찰해야 한다고 당부 말씀을 드립니다.
이렇게 배를 진찰했을 때, 다시 담적이 생기는 징조가 보인다면, 반드시 식습관 교정을 신경 써야 합니다.
담적이 다시 생기지 않고 있다면, 특별히 주의점에 대해서 말씀드리지는 않습니다.
지금까지 위 기능 저하가 느껴질 때, 배를 살펴보고 담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배를 살펴봤더니, 굳어진 부위가 없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위무력증 때문에 소화력이 약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산 역류가 재발할 땐 막힌 것을 뚫어주세요 (0) | 2021.05.03 |
---|---|
담적 증상이라고 생각되는 병들 (0) | 2021.04.30 |
속이 허할때 위장 점막이 얇아졌을수 있어요 (0) | 2021.04.17 |
장마비 증상이 만성이면 이렇게 (0) | 2021.04.10 |
담석증과 담적병은 다른 병이에요 (0) | 2021.04.02 |
댓글 영역